27일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 발사체의 기립 작업 모습   | image© 우주항공청
27일 발사 예정인 누리호 4차 발사체의 기립 작업 모습 | image© 우주항공청

27일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를 앞두고 25일 오전 9시부터 발사체의 발사대 이송이 시작됐고, 무사히 설치 작업이 진행되어 하늘을 향해 우뚝 섰다. 26일 오후 추진제 충전 여부 결정과 함께 최종 발사 시각이 조정된다. 이번 4차 누리호는 우주환경 연구와 함께 국내 위성으로는 처음으로 우주의학 분야의 실험과 실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발사 준비 작업과 일정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5일 오전 9시부터 한국형 누리호 4차 발사체의 이송을 시작했다. 항우연은 오전 8시 30분에 발사준비위원회를 열어 기상 상황을 고려해 오전 9시에 누리호를 발사대로 이송하기로 결정했다. 누리호는 무인 특수이동 차량에 실어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체 종합조립동에서 제2발사대까지 1시간 40분에 걸쳐 이송됐다.

누리호는 발사대에 도착한 뒤 준비과정을 거쳐 오후 1시 36분 발사대에 기립했다, 오후에는 전원 및 추진제 등을 공급하기 위한 엄빌리칼 연결 및 기밀점검 등 발사 준비 작업을 했다. 발사대 이송, 기립, 엄빌리칼 연결 등 발사 준비 작업 과정상 문제가 없으면 이날 늦게까지 발사대에 누리호를 설치하는 작업을 하는데 기상 상황에 따라 작업 일정이 변경될 수 있다.

우주청은 26일 오후에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추진제 충전 여부를 결정하고 기술적 준비 상황, 발사 윈도우, 기상 상황, 우주물체와의 충돌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누리호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할 예정이다.

우주환경 관측과 우주의학 실험

누리호 4차 발사로 우주에 진입하는 차세대중형위성 3호에 우주환경 메커니즘 규명을 위한 오로라·대기광 관측기 로키츠와 전리권 플라스마 및 자기장 관측기 아이엠맵, 우주 바이오 실증을 위한 바이오캐비닛을 탑재해 핵심 임무를 수행한다.

한국천문연구원 이우경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로키츠는 오로라의 발생 범위와 변화를 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우주용 광시야 카메라다. 로키츠는 700km 관측 폭으로 기존의 관측자료가 부족한 자정 부근 오로라 활동을 포착하며, 지구 대기로 유입되는 에너지 정보를 제공해 우주환경 예측에 필수 자료를 지원한다.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소 유광선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아이엠맵은 고도 100~1000km에 분포한 전리권에서 플라스마 특성과 자기장 변화를 동시에 측정한다. 전리권은 저궤도 인공위성이 운용되는 공간으로 태양폭발이나 대기의 급격한 변화 등에 의해 교란되며 통신 교란과 GPS 위치 오류를 유발한다.

박찬흠 한림대학교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캐비닛은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도 세포 배양과 3D 프린팅이 가능한 완전 자동화 시스템을 갖췄다. 역분화 심장 줄기세포를 미세중력에서 3D 프린팅해 조직의 자발적 수축을 관찰하고, 편도유래 줄기세포를 혈관 세포로 분화시키는 실험을 할 예정이다.

강력한 태양흑점 폭발이 지난 10일 발생해 평소보다 위도가 낮은 지역에서 오로라가 확장 관측되고, 아프리카와 유럽 지역에서 무선통신 두절이 발생하는 등 태양 활동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현재 태양은 약 11년 주기의 극대기에 도달해 활동이 더욱 강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위성통신 및 GPS 교란 가능성이 커지면서 우주환경의 체계적 관측과 예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바이오캐비닛은 미세중력 환경에서의 세포 분화 특성을 규명해 심혈관계 질환 치료와 우주 의료기술 발전에 기여하며, 난치질환 극복과 장기 부족 문제 해결에 획기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디지털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