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챗GPT에 탑재한 '쇼핑 리서치' 기능은 복잡한 온라인 쇼핑 과정을 인공지능이 간소화한다 | image© OpenAI
오픈AI가 챗GPT에 탑재한 '쇼핑 리서치' 기능은 복잡한 온라인 쇼핑 과정을 인공지능이 간소화한다 | image© OpenAI

쇼핑을 위해 수십 개의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시간을 허비하는 '선택 과부하' 시대가 막을 내릴 조짐이다. 오픈AI는 챗GPT에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쇼핑 비서 역할을 수행할 새로운 기능 '쇼핑 리서치(Shopping Research)'를 전격 공개했다. 이 기능은 사용자들이 복잡한 온라인 쇼핑 경험에서 겪는 비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기능은 11월 25일(한국 시간)부터 단계적으로 배포되기 시작했다.

맞춤형 구매 가이드의 탄생: 복잡한 제품 비교를 한번에

사용자는 이제 '가장 조용한 무선 청소기', '두 회사의 자전거 비교', 혹은 '4세 아동을 위한 선물' 등 원하는 제품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챗GPT는 설명을 듣고 사용자의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한 보조 질문을 던진다. 이후, 실시간으로 웹을 스캔하여 최신 제품 정보를 수집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인용하여 개인화된 상세 구매 가이드를 즉시 생성한다.

이 기능은 특히 복잡한 사양과 다양한 기능 등 세부 사항이 많은 카테고리에서 빛을 발해, 전자제품, 가전, 피트니스 장비, 뷰티 제품 등 객관적인 정보 비교가 필수적인 분야에 특히 강력한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리서치 기능은 쇼핑 작업을 위해 강화 학습을 통해 특별히 훈련되었고, 제품 페이지를 읽고 출처를 인용하여 정보를 합성하도록 최적화된 GPT-5 mini 모델을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기존 챗GPT 응답의 한계를 넘어선 구조화되고 심층적인 제품 추천 방식이다.

편향 없는 제품 추천과 미래의 '즉시 결제'

쇼핑 리서치 기능의 또 다른 핵심은 추천의 객관성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설명하고 피드백을 제공(예: "이런 스타일은 관심 없어", "더 저렴한 것 보여줘")할 때마다 리서치 결과는 실시간으로 조정되지만, 사용자 채팅 기록은 소매업체와 공유되지 않아 추천의 공정성을 유지한다. 인공지능 쇼핑 시대에 정보의 투명성은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오픈AI는 연말 쇼핑 시즌을 지원하기 위해 모든 요금제 사용자(무료, Go, Plus, Pro)에게 해당 기능을 거의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이는 챗GPT의 새로운 주력 기능으로서 쇼핑 리서치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려는 전략이다. 프로(Pro) 사용자 대상의 '챗GPT 펄스(Pulse)'와 더욱 깊숙이 통합되어, 사용자가 최근 대화에서 언급했던 품목에 대한 액세서리를 선제적으로 추천하는 기능까지 계획하고 있다.

앞으로의 전망

오픈AI는 향후 쇼핑 리서치 기능을 더욱 광범위한 온라인 쇼핑 카테고리로 확장하고, 챗GPT 메모리를 활용해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함으로써 개인화를 심화할 계획이다. 궁극적으로는 시스템에 참여하는 판매자와 연동하여 챗GPT 내에서 직접 '즉시 결제(Instant Checkout)'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 이는 인공지능 쇼핑이 온라인상에서 제품을 발견하고 비교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는 시작점이 될 것이다.

 

출처

저작권자 © 디지털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