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폴리곤·스텔라 등 주요 블록체인 기업들이 ‘블록체인 결제 컨소시엄’을 결성해 글로벌 결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 image© BPC
솔라나·폴리곤·스텔라 등 주요 블록체인 기업들이 ‘블록체인 결제 컨소시엄’을 결성해 글로벌 결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 image© BPC

솔라나재단, 폴리곤랩스, 스텔라개발재단, 톤재단, 미스텐랩스, 파이어블록스 등 주요 블록체인 및 인프라 기업이 ‘블록체인 결제 컨소시엄(Blockchain Payments Consortium, BPC)’을 공식 출범했다.

블록체인 결제 표준화 나선 글로벌 컨소시엄

이들은 서로 다른 블록체인 간 결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스테이블코인 결제의 기술·규제 표준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BPC는 온체인 결제 처리량 기준으로 기존 카드 결제망인 비자(Visa)와 마스터카드(Mastercard)를 능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두 결제망은 연간 약 10조달러(약 13,930조원) 규모를 처리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결제는 이보다 더 큰 15조달러(약 20,90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절된 생태계 극복이 핵심 과제

현재 블록체인 결제 시장은 네트워크마다 다른 정산·프로토콜·규제 체계를 사용해 확장성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BPC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통합된 기술적 상호운용성과 제도적 규제 기준을 마련하고, 기관 금융망과의 연동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스텔라개발재단은 “현재 스테이블코인은 전통 카드 결제망보다 더 많은 가치를 전송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은 블록체인 결제 산업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컨소시엄이 제시한 통합 표준이 실제 산업 적용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각 블록체인 간 경쟁 구도, 규제 기관 협력, 금융기관 통합 등 복합적 조율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BPC 출범은 블록체인 결제가 실험 단계를 넘어 실질적 금융 인프라로 성장하기 위한 첫 단계로 평가된다. 업계는 이 연합이 신뢰성과 확장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글로벌 결제 시장의 구조 자체가 변화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디지털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